스태그플레이션, 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의 뜻,의미
스태크플레이션, 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
스태그플레이션
오늘은 경제용어 중 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979 중동전쟁으로 석유를 감산하여 오일쇼크가 발생합니다.
원자재 확보 못해 공장가동 및 제조업의 잇단 중단사태가 일어났습니다
자재가 부족해지니 생산이 안되고, 생산이 안되니 필요한 물건에 대한 공급이 부족해지고 물건이 부족해지니 수요와 공급의 원리로 물가가 오르기 시작했습니다
이 시기 1980년 한국의 10월 물가폭등률은 약 30%였습니다
물가가 폭등하여 소비는 줄어 판매는 되지 않고, 판매가 줄어드니 기업은 수익이 감소하고 수익이 감소하니 기업에서는 고용을 줄이기 시작합니다
고용을 줄이면 다시 가정에는 돈이 없어 물건을 사지 않으니 또 소비가 줄고.... 악순환이 반복됩니다.
이러한 상황 즉, 물가는 오르는데(인플레이션) 경기는 침체되는(스태그네이션) 용어를 합쳐 스태크플레이션이라고 합니다 요즘 스태그플레이션이 우려된다는 목소리가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코로나 시기 돈을 너무 풀어서 물가가(부동산 및 주식 등) 가파르게 상승하였고, 이를 통제하기 위해 금리를 올리고 있는데 문제는 이 시기와 맞물려 우크라이나전쟁이 터지면서 원자재값이 폭등하게 되었습니다.
보통 스태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경우는 금리를 올려서 물가를 잡고 다시 투자를 선순환시키는 것이 해결책이지만, 현재 양적완화로 인해 금리가 상당히 올라가 있어 추가 인상을 하기도 힘든 상황입니다.
미국은 고용지표나 소비자물가지표를 보고 금리를 다시 안정화시키려고 하고 있지만 여전히 물가가 높다고 판단하여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이네요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인플레이션은 돈의 가치가 하락하고 물가가 상승하는 것을 말합니다
10년 전 짜장면이 3000원이라고 가정한다면 현재는 5000원 정도 하죠 짜장면의 가치는 올라 더 이상 3000원으로 짜장면을 살 수 없습니다
경제에서 인플레이션 상황이 되면 돈의 가치는 하락, 자산의 가치는 상승합니다 최근 코로나로 재정이 풍부해지면서 모두들 인플레이션을 제대로 겪어 보았을 겁니다.
작년 초까지만 해도 아파트, 주식이 고공행진 했으니까요
디플레이션은 인플레이션과 반대로 돈의 가치가 상승하고 물가가 하락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디플레이션으로 물가가 하락했을 때 부동산을 사둔다면 추후 물가 상승 시 큰 이익을 볼 수 있겠죠?
'재테크 > 알쓸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공적인 적립식 투자의 비결 (0) | 2023.06.13 |
---|---|
당신이 투자에 실패하는 이유 (0) | 2023.06.12 |
23년부터 바뀌는 실손보험(실비보험) 분석, 비교, 할인 혜택 꿀팁 (0) | 2023.06.11 |
모르면 손해! 세금 적게 내고 금 투자 쉽게 하는 방법 (1) | 2023.06.09 |
2차전지 핵심소재 리튬 배터리(리튬 전지) 알아보기 (0) | 2023.06.06 |
비과세 저축보험의 놀라운 실체(장기가입 혜택에 속지마세요) (0) | 2023.05.26 |
똑똑하게 대출 상환하는 법 (0) | 2023.05.25 |
대출이자(금리)를 가장 효율적으로 받는 기술 (0) | 2023.05.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