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과세 저축보험의 실체
비과세 저축보험의 팩트체크
비과세저축보험 = 보험사 장기적금
비과세 저축보험은 보험사의 저축상품으로 장기적금으로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저축보험의 장단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장점 | 단점 |
시중은행 예,적금보다 이자율이 높다 복리로 운영 10년 이상 유지시 비과세 혜택 |
사업비가 있어 중도 해지시 불이익 만기가 길어 투자 기회비용이 큼 |
- 이자 지급방식은 복리로 운영되기 때문에 시중은행 상품이 대부분 단리방식 대비 장점
- 시중은행 예, 적금은 15.4% 세금을 제외해야 하지만 저축보험은 10년 이상 유지할 경우 비과세
일반적으로 납입금의 약 10%가 사업비로, 월 납입금이 20만 원이라면 2만원을 제외한 18만원이 실제 운영자금이네요
이 정도 비율이면 복리와 비과세 혜택이 무의미할 정도입니다
저축 보험은 비과세 혜택을 받으려면 10년 이상 불입해야 하기 때문에 장기일수록 복리 효과를 볼 수도 있지만
10년 동안 비용이 묶이기 때문에 다른 기회비용에 대한 리스크도 있습니다
비과세 저축보험의 팩트체크
저축보험 vs 정기적금+정기예금
월 10만원씩 1년 정기예금, 적금을 가입 후 만기가 되면 다시 가입 반복 vs 7년 저축보험
기간 | 원금 (만원) |
은행 정기예,적금 | 보험사 저축보험 | |||
원리금(원) | 환급률(%) | 해약환급금(원) | 환급률(%) | 원금-해약환급급 | ||
6개월 | 60 | 60만 7699원 | 101.28 | 0 | 0.0 | -60만원 |
9개월 | 90 | 91만 6497원 | 101.83 | 23만 3397원 | 25.93 | -66만 6603원 |
1년 | 120 | 122만 8595원 | 102.38 | 52만 5902원 | 43.83 | -67만 4098원 |
2년 | 240 | 251만 1258원 | 104.63 | 173만 866원 | 72.12 | -66만 9134원 |
3년 | 360 | 385만 307원 | 106.95 | 299만 3666원 | 83.16 | -60만 6334원 |
4년 | 480 | 524만 8285원 | 109.34 | 431만 7177원 | 89.94 | -48만 2823원 |
5년 | 600 | 670만 7762원 | 111.80 | 570만 4553원 | 95.08 | -29만 5447원 |
7년 | 840 | 982만 2157원 | 116.93 | 868만 3975원 | 103.38 | 28만 3975원 |
저축보험은 보험을 해약할 때 가입기간과 상관없이 7년 치 사업비 중 일부를 차감한 후 돌려줍니다
가입 기간 상관없이 7년 전에 해약 시 원금을 돌려받을 수 없습니다
심지어 6개월 지난 시점에 해약하면 환급금이 0원입니다
저축보험상품의 사업비중 미리 차감되는 부분이 8%라면 사업비 계산은
월 보험료 10만원 x 8% x 12개월 x 7년 =67만원
가입하는 순간부터 60만원 이상의 손해가 발생합니다
해약환급금 항목을 살펴보면 거의 60만원대가 유지되는데 시간이 지날수록 환급률이 올라가는 것은 손해는 일정한데 원금이 증가함에 따라 이미 쌓여 있는 이자가 발생해서 환급률이 올라가는 것이지 손해가 줄어드는 구조가 아닙니다
따라서 7년 뒤 환급률이 100%가 넘는 것은 원금회복이라기보다는 7년 동안 발생한 이자가 처음에 차감된 사업비를 넘어섰다고 볼 수 있습니다
사업비가 만약 없다면 납입한 보험료가 모두 운영되어 정기 예, 적금 원리금처럼 많은 이자가 발생했을 것입니다
저축보험 가입으로 인한 기회비용
가입기간이 오래되지 않았다면 해약 후 정기 예, 적금 상품 가입을 추천
위 내용을 본다면 저축보험을 가입하지 않는 게 맞다고 생각하실 겁니다
그렇다면 이미 가입한 사람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아래 표를 기준으로 저축보험을 2년간 유지하고 해약한 후 해약환급금은 3년 만기 정기예금에, 매월 10만원은 3년 만기 정기적금에 가입했다고 가정해서 계산을 해보겠습니다
해약후 정기예금, 적금에 신규가입 할 경우 | 저축보험을 계속 유지 |
2년 유지후 해약 환급금 = 173만원 → 3년 만기 연 5.2% 정기예금 가입 매월 10만원 → 3년 만기 연 5.2% 정기적금 가입 3년후 원리금 합 = 580만원(15.4% 과세후) |
3년후 저축보험 해약 환급금 =570만원 |
해약하는 것이 낫다는 결과가 나옵니다.
저축보험 상품에 따라, 보험료 납입방법에 따라, 금리조건에 따라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어 이 부분은 확인이 필요합니다
저축보험을 해지하는 것으로 금전적 이익뿐 아니라 현금흐름이 개선되어 10년간 납입해야 하는 장기저축 비용에 대한 종잣돈으로 다른 투자에 대한 기회비용을 살릴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잘못된 판단으로 가입한 보험은 즉시 해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해지하면 손해가 발생하지만 해지하지 않는다고 손해가 발생하지 않는것도 아니라는 것을 알수 있었습니다
해약환급률이 올라가는 착시효과에 속지말고 저축보험은 장기로 할수록 좋다고 하는데 장기로 유지할수록 좋지 않은 상품은 없다는걸 명심하세요
'재테크 > 알쓸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년부터 바뀌는 실손보험(실비보험) 분석, 비교, 할인 혜택 꿀팁 (0) | 2023.06.11 |
---|---|
모르면 손해! 세금 적게 내고 금 투자 쉽게 하는 방법 (1) | 2023.06.09 |
스태그플레이션, 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의 뜻,의미 (0) | 2023.06.07 |
2차전지 핵심소재 리튬 배터리(리튬 전지) 알아보기 (0) | 2023.06.06 |
똑똑하게 대출 상환하는 법 (0) | 2023.05.25 |
대출이자(금리)를 가장 효율적으로 받는 기술 (0) | 2023.05.22 |
개인연금 가입을 빨리해야 할까? (0) | 2023.05.13 |
연금저축보험은 필수상품이 아니다? (2) | 2023.05.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