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저축보험의 세액공제 정확히 알기

연금저축보험이란?
연금저축보험 바로 알기
연금저축보험은 소득공제 혜택이라는 장점이 있어 많은 사람들이 가입하고 있습니다.
회사에 갓 입사한 신입사원들이 급여통장등을 만들 때 은행직원들이 필요한 상품인 것처럼 연금저축보험 가입을 많이 권유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금융기관은 연금저축보험 상품의 장점만 강조하고 단점은 잘 설명하지 않습니다
연금저축보험과 연금상품의 장단점 비교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 소득공제 (O) - 연금저축신탁, 연금저축보험
- 소득공제 (X) - 연금보험, 변액연금보험
소득공제형 연금상품
소득공제형 연금상품은 소득공제 혜택이 비효율적
소득공제형 연금상품은 세제혜택이 있는 대신 연금수령 시 연금소득세 5.5%를 내야 합니다
세금징수 시점이 현재가 아닌 미래입니다.
참고로 소득공제 혜택이 없는 연금상품은 연금수령 시 비과세입니다.
현재 세금을 낼지, 미래에 낼지 시점의 차이가 있을 뿐입니다.
연금수령 시 내야 하는 세금 VS 소득공제 혜택으로 연말정산 환급금
- 연금소득세: 5.5%
- 연말정산 세액공제: 소득공제받은 금액 x 세율 (과세표준이 높을수록, 소득이 많을수록 소득공제 효과 큼)
결론은 연금저축보험은 가입 소득이 많을수록 효율적이고 소득이 적을수록 비효율적입니다.

2가지 예를 보면 A는 1년에 저축하는 돈이 6000만원, 연 400만원을 저축보험에 납입하더라도 부담이 되지 않습니다
세금혜택도 140만원입니다
반면에 B는 연금저축액이 본인 연봉이 약 30%로 상당히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세금혜택도 60만원으로 A에 비해 적습니다.
위 내용을 비교해 본다면 B기준에 연금저축 보험을 가입하고 세금 혜택을 조금 더 받는 것이 좋을까요?
아니면 저 돈으로 종잣돈을 모아 다른 곳에 치중하는 것이 좋을까요?
저라면 후자를 택하겠습니다.
중도해지 시 불이익
소득공제형 연금상품은 납입금액의 100% 소득공제로 인정해 줍니다.
혜택이 큰 만큼 손해도 큰데 중도해지 할 경우 22% 세금이 과세됩니다.
가입시점으로부터 5년을 경과하지 않으면 그동안 세금감면 혜택을 뱉어내고, 특별해지세 2.2%가 추가됩니다.
10년 이상 장기납입
소득공제형 연금상품은 10년 이상 납입해야 합니다.
10년 이상 납입하지 못하면 큰 손해를 볼 수밖에 없습니다.
55세가 돼야 연금 개시가 가능하기 때문에 10년 이상, 55세까지 유지할 계획이 아니면 가입하는 것을 고민해 보시길 바랍니다.
위에서 설명했듯이 연금저축보험의 가입은 고소득자가 소득공제를 목적으로 가입하는 상품이므로, 연금저축보험을 가입할 경우 세금혜택 기회보다 다른 기회비용을 잃을 수 있으니 신중히 고민해 보시길 바랍니다
'재테크 > 알쓸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과세 저축보험의 놀라운 실체(장기가입 혜택에 속지마세요) (0) | 2023.05.26 |
---|---|
똑똑하게 대출 상환하는 법 (0) | 2023.05.25 |
대출이자(금리)를 가장 효율적으로 받는 기술 (0) | 2023.05.22 |
개인연금 가입을 빨리해야 할까? (0) | 2023.05.13 |
연말정산, 신용카드 사용 이것만 알면 환급 혜택이~ (2) | 2023.05.10 |
성공적인 장기투자의 비결 (0) | 2023.05.09 |
실비보험료(실손보험,실비)가 계속 오르는 이유 (0) | 2023.05.08 |
기준금리와 시장금리의 차이 (0) | 2023.04.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