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과 가입조건, 정부지원금 총정리
본문 바로가기
재테크/알쓸 지식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과 가입조건, 정부지원금 총정리

by 방구석 고수 2023. 11. 7.
 
 

최대 5000만원 만들어주는 청년도약계좌 알고 계신가요?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과 조건

 

 

청년도약계좌란?

정부지원금 + 본인의 투자금 = 최대 5000만원

청년도약계좌란 만 19 ~ 34세 청년이 매달 최대 70만원 한도 내 5년 동안 저축 시 원금 4200만원 + 정부지원금 최대 약 800만원 이자 = 최대 5000만원을 만들 수 있는 정부지원 금융상품입니다

23년 6월에 출시했으며 가입자가 매달 40~70만원 납입 시, 정부가 매달 22,000 ~ 24,000원 이자를 지원해 주고, 이자소득은 비과세 혜택을 줍니다.

가입 후 최소 3년간 고정금리이며, 이후 2년간은 변동금리 적용상품입니다.

 

청년도약계좌 조건

▷ 연소득 6000만원이하이면 혜택 가능

개인소득(총급여기준) 월 납입한도 기여금 월 지급한도 정부이자 지원비율 정부이자 지원 월한도
2,400만원 이하 70만원 40만원 6.0% 24,000원
3,600만원 이하 50만원 4.6% 23,000원
4,800만원 이하 60만원 3.7% 22,000원
6,000만원 이하 70만원 3.0% 21,000원
7,500만원 이하 - - -

 

청년도약계좌는 총급여가 7,500만원 이하, 중위소득 180% 이하(본인을 포함한 가구원 소득)의 가구소득 요건을 모두 충족해야 가입할수 있습니다

급여가 6,000만원 이하인 경우 정부기여금 + 비과세 혜택이 가능하지만 6,000 ~ 7,500만원 사이인 경우 비과세 혜택만 적용됩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과 조건

 

 

청년도약계좌 금리혜택

원금 + 은행이자(5.5 ~ 6%) + 정부기여금 + 정부기여금 이자(3.8 ~ 4.5%)

첫 3년은 고정금리이며, 나머지 2년은 변동금리입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과 조건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과 조건

 

가입기간과 납입금액에 관한 계산의 예시는 아래와 같습니다.

기본금리 4.5% + 우대금리 최대 1.5%까지 하면 최대이자 800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향후 1년까지는 어느 시점을 가입을 하든 기본금리 4.5% 적용되지만

1년 후 가입할 경우 기본금리 4.5%는 변경될 수 있습니다

조정되는 기본 금리는 한국은행 기준금리 변동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과 조건

 

청년도약계좌 가입절차와 신청방법

KB 청년도약계좌,  NH 청년도약계좌, IBK 기업은행 청년도약계좌, 신한은행 청년도약계좌 등 현재 11개 은행 + 24년 SC 제일은행까지 포함 12개 시중은행에서 가입 

청년도약계좌

 

23년 6월부터 매월 가입신청을 받아 심사예정입니다.

가입일로부터 1년 단위로 개인소득을 재심사하여 기여금 지금 여부를 결정합니다.

 

청년도약계좌는 11개 시중은행 앱을 통해 모바일로 비대면 가입 가능합니다.

KB 국민은행 KB 청년도약계좌, NH 농협은행 NH 청년도약계좌, IBK 기업은행 청년도약계좌, 신한은행 청년도약계좌 등 현재 11개 은행 + 24년 SC 제일은행까지 포함 12개 시중은행에서 가입 가능합니다

 

가입 요건만 충족한다면 가입가능하고 가입 이후 소득이 늘어나더라도 가입이 취소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소득이 없거나 국세청을 통해 소득금액증명이 어려운 경우 가입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단 2022년에 출시된 청년희망적금 이용 중이라면 청년도약계좌에 가입은 불가능합니다.

청년희망적금 만기가 됐거나, 중도해지 시 청년도약계좌 가입 가능합니다.

그리고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내일채움공제, 희망 두 배 청년통장 등 고용지원 상품에 가입 중이라면 청년도약계좌 중복으로 가입 가능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