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특례대출 조건과 금리(+특례보금자리론 비교)
신생아 특례대출(24년 1월부터 출시)
▷ 최대 연 1% 금리로 이용가능
저출산이 점점 심해지고 있습니다
22년 합계출산율은 0.78명으로 19년 1.05명과 비교하면 현저하게 감소하였습니다.
신생아수도 19년 30만 3000명에서 22년 약 25만 명으로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 중입니다.
연간 혼인건수도 줄고 있는 추세이며, 혼인대비 출산비율도 역대 최저치를 경신 중입니다.
이런 저출산 극복을 위해 출산장려를 위해 정부가 신생아 특례대출 상품을 24년 1월부터 출시예정입니다.
신생아 특례대출 신청자격과 조건
▷ 23년생 자녀가 있다면 신청가능합니다
- 주택여부: 신청일 기준으로 2년 이내 출산한 무주택 가구
- 부부연소득: 1억 3000 이하
- 결혼여부: 결혼 여부 상관없이 23년 이후 태어난 아기가 있으면 가능
신생아 특례대출은 주택을 매매하거나 전세보증금에 사용가능합니다
금리도 소득에 따라 변동되며 신생아 특례대출 조건과 신청자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주택 OR 아파트 등 집을 구매 시
- 9억 이하 주택 구입 시 최대 5억 대출가능
- 자산: 5억 600만원 이하
- 5년 동안 고정금리: 1.6 ~ 3.3%
- 연소득이 8500만원 이하: 1.6 ~ 2.7%
- 연소득이 1억 3000만원 이하: 2.7 ~ 3.3%
2. 전세 보증자금으로 활용 시
- 최대 3억 대출 가능
- 수도권 전세: 보증금 5억
- 지방: 4억원 이하
- 자산: 3억 6100만원 이하
- 5년 동안 고정금리: 1.1 ~ 3%
-연소득이 7500만원 이하: 1.1 ~ 2.3%
- 1억 3000만원 이하: 2.3 ~ 3.0%
대출받은 후 아이를 또 출산하면 금리와 대출기간 혜택이 늘어납니다
아이 1명당: 0.2% 추가 감면되며 금리 혜택 적용 기간도 아래와 같이 추가로 늘어납니다
주택구입: 1명당 5년, 전세자금: 1명당 4년
단, 아이 3명까지만 혜택이 가능합니다
신생아 특례대출 특례보금자리론과는 다릅니다.
▷ 특례보금자리론 일반형 대비 신생아 특례대출 3%이 이상 유리
특례자리보금자리론은 23년 출시 이후 7개월 만에 공급한도의 90%가 소진될 만큼 인기가 좋았지만 가계 대출의 원인으로 되어 일반형은 사라졌습니다
신생아 특례대출로 주택을 구입할 경우 특례자리론 일반형과 대출한도는 같지만 금리는 3% 이상 낮습니다
하지만 자산, 소득 기준은 특례보금자리론에는 없었습니다.
[신청방법]
신청방법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있습니다
온라인: 한국주택금융공사 홈페이지 신청 클릭(24년 1월 예정)
오프라인: 은행 영업점 직접 방문
신생아 특례전세 및 구입자금 대출 대환 대출 가능할까?
▷ 대환대출은 가능한 것으로 검토중
신생아 특례전세자금 대환대출은 가능한 것으로 검토중으로 나와 있습니다
검토하겠다는 계획중이며, 최종적으로 올해말또는 내년초에 확정예정입니다.
대환대출은 주택구입자금 및 전세가구 모두 해당되며, 출산한지 2년이내이여야 합니다.
주택 구입자금은 1주택 보유중인 경우에만 대환 가능합니다
그 외 출산 시 주어지는 신생아 특별공급 혜택
▷ 공공분양, 민간분양, 공공임대 신생아 우선공급
24년 3월부터 혼입여부와 상관없이 신생아 특별공급 혜택이 주어집니다.
1. 공공분양 뉴홈 신생아 특별공급
- 공공분양에 신생아 특별공급을 연간 약 3만호 공급예정입니다
- 소득, 자산요건은 월평균소득 150% 이하, 자산은 3억 8천만원 이하
2. 민간분양 신생아 우선공급
- 연간 생애최초, 신혼부부 특병공급 물량의 약 20%(약 1만호)
- 소득요건은 월평균소득 160% 이하, 소득이 낮은 가구 우선공급
3. 공공임대 신생아 우선공급
- 출산 가구에 신규 공공임대 약 2만호 우선공급
- 중위소득 100% 이하, 매입, 전세임대는 월평균소득 100% 이하, 자산은 3억 6000만원 이하
2023.10.22 - [재테크/알쓸 지식] - 24년 출산혜택, 육아 지원 제도 한방에 정리
24년 출산혜택, 육아 지원 제도 한방에 정리
2024년부터 확대되는 출산 지원금과 혜택 알아보기 새롭게 바뀌는 육아휴직급여 ▷ 24년 하반기부터 육아휴직급여 기간 연장 및 상한액 상향 24년부터 확대되는 출산, 육아 지원 제도에 대해 알아
jth7197.tistory.com
내 중위소득 확인 방법
24년 기준 중위소득은 역대 최대 수준으로 인상 되었습니다
가구원수 | 1인 | 2인 | 3인 | 4인 | 5인 | |
기준 중위소득 | 23년 | 207만 7892 | 345만 6155 | 443만 4816 | 540만 964 | 722만 7981 |
24년 | 222만 8445 | 368만 2609 | 471만 4657 | 572만 9913 | 761만 8369 |
[기준 중위소득 확인방법]
1. 복지로 이용하기
복지로 접속- 복지 서비스 - 국민기초 생활보장 접속
본인의 해당하는 내용에 기입
2023.09.11 - [재테크/알쓸 지식] - 24년부터 결혼시 세금 면제 혜택 아시나요?
24년부터 결혼시 세금 면제 혜택 아시나요?
24년부터 혼인 시 증여재산 공제 가능합니다 결혼하면 부모님께 증여받은 3억까지는 무상증여 가능합니다 ▷ 혼인 공제 부부합산 최대 3억 24년부터 신설되는 결혼자금 증여세 공제에 대해 알아
jth7197.tistory.com
'재테크 > 알쓸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전우대율 100%, 하나 트래블로그 체크카드 혜택 알아보기 ~여행 출발전 빨리 신청하세요 (0) | 2023.12.04 |
---|---|
놓치면 안되는 연금저축 vs IRP 차이점 바로 알기 (0) | 2023.12.02 |
세금이 0원?? 절세통장 3형제 ISA, 연금저축, IRP 파헤쳐 보기 (0) | 2023.11.19 |
국민연금 개혁안 총정리 보험료 얼마나 더 내고, 얼마나 돌려 받을까요? (0) | 2023.11.14 |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과 가입조건, 정부지원금 총정리 (0) | 2023.11.07 |
비트코인 현물 ETF 출시로 코인 떡상과 가상자산 세금은 언제부터 낼까? (2) | 2023.10.28 |
24년 출산혜택, 육아 지원 제도 한방에 정리 (0) | 2023.10.22 |
알리익스프레스, 아마존등 나라별 해외직구 관세 아직 모르고 있다면 보고 가세요! (0) | 2023.10.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