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시마 위치와 방사능 오염수의 삼중수소에 대한 진실
후쿠시마 오염수 정말 안전한가?
일본정부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를 결정했습니다
이와 관련해서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에 대해 걱정하고 있고 과연 방류를 하였을 때 바다에 버려지는 오염수 영향을 받은 해양생물들이 우리의 식탁으로 올라왔을 때 인체에 어떤 위험이 될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후쿠시마 위치 및 오염수 방류계획
[후쿠시마 원전 위치]
후쿠시마 위치는 일본 동쪽 도쿄만에서 약 2시간 거리에 위치해 있습니다
2011년 3월 동일본 대지진 발생으로 원자로에 지하수와 빗물이 스며들어 오염수 약 125만톤이 발생하였고
탱크 저장용량 137만톤의 한계치까지 왔기 때문에 방류를 결정하였습니다.
[후쿠시마 원전 위치 및 오염수 방류 계획]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시 동해까지 유입은 약 1년 정도 예상된다고 합니다
오염수는 올해부터 약 30년에 걸쳐 방류예정이지만 어디까지나 예상일 뿐 언제 마무리될지는 아무도 모른다고 합니다.
[오염수 방류과정]
방류과정은 대형수조에 바닷물 + 오염수를 섞은 뒤 샘플을 채취해서 농도를 확인하고 농도가 일정 수준이하면 바다에 방류합니다.
방류수에 포함된 방사능 물질 삼중수소는 정말 인체에 무해한가?
지금 가장 이슈와 걱정이 되고 있는 방류수가 바다에 들어왔을 때 오염수에 섞인 방사능 물질이 인체에 정말 안전한가?입니다.
여기에 대해서는 전문가들 의견이 분분하지만 일단 오염수를 처리한다는 도쿄전력의 ALPS(알프스) 시스템은 대부분의 방사능 물질을 제거한다고 하지만 삼중수소(트리티움)는 걸러지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럼 지금 이슈가 되고 있는 삼중수소는 무엇이고 인체에는 어떻게 치명적일까요?
[삼중수소란?]
- 방사선 동위원소
- 산소와 반응하여 삼중수소수 형태로 대기와 물에 순환
- 인체에 노출될 경우 호흡, 피부흡수, 섭취로 체내로 들어옴
- 삼중수소의 반감기는 10일
- 반감기: 물질이 반으로 줄어드는 시간
- 95%는 빨리 배출되지만 약 5%는 체내 유기물과 결합해 장시간 머무는데 적게는 40일, 길게는 1년 예측
삼중수소의 인체 영향에 대한 긍정적인 입장
현재까지 삼중수소의 인체발암성 자료는 없으나 몇몇 동물연구에 따르면 삼중수소 노출량이 암발생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밝혀짐
수산물에 축적된 삼중수소의 농도에 따라 체내로 유입되는 주요 원인이 될듯 하지만 생물의 축적 정도는 매우 다양한 요인과 환경적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정확한 예측이 불가
따라서 아직까지 삼중수소가 무조건 신체에 유해하다는 것은 성급하다는 결론
또한, 도쿄전력은 삼중수소가 방출하는 베타선은 피부도 뚫지 못할 정도로 약해서 주변 생태계에 생물학적 영향이 거의 없다고 주장
삼중수소의 인체 영향에 대한 부정적인 입장
미국의 생물학 교수는 삼중수소의 생물학적 영향력을 다룬 논문 250건 확인결과, 삼중수소가 다른 방사성 물질보다 더 강한 생물학적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
삼중수소는 외부에서는 크게 위험하지 않지만 체내로 유입되면 저에너지 특성으로 방사선이 오히려 인체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피폭을 일으켜 피해 초래
도쿄전력의 주장과 달리 삼중수소의 생물학적 효과비가 세슘, 감마선보다도 2~6배 높다고 경고
내부 피복될 경우 DNA를 직, 간접적으로 손상시키는 등 유전자 및 신진대사 악영향 우려
정의 생산, 운동과 난자 수정력 저하, 식물의 종자 발아율 저하
일본의 계획대로 오염수가 정말 아무런 문제없이 잘 처리만 된다면 인체에 무해하겠지만, 혹여라도 처리과정중에 문제가 생긴다거나 문제가 생겼는데 이를 알지 못한 경우라면 이것이 가장 큰 문제가 될것 같습니다
또한 수산물이나 바다내에서 어디서 어떻게 변형될지도 모를수도 있고요
아무리 완벽히 처리한다고는 하지만 사람들의 인식은 여전히 불안하고 두려운건 어쩔수 없는것 같습니다
'재테크 > 알쓸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뜰폰, KT, SK, 유플러스 해외로밍 요금제 비교 (0) | 2023.09.27 |
---|---|
금융소득이 일정금액 넘으면 건보료 추가로 내야한다?? (2) | 2023.09.13 |
24년부터 결혼시 세금 면제 혜택 아시나요? (1) | 2023.09.11 |
근로장려금,자녀장려금 신청조건과 지급일 (0) | 2023.09.03 |
다자녀 혜택 이렇게나 많이? 다자녀 가구 혜택 알아보기 (0) | 2023.08.28 |
건보료를 절약하기 위한 필수정보, 건강보험료(건보료) 산정기준 (2) | 2023.08.26 |
노후자금이 걱정되시나요? 노후자금 필수 준비사항 주택연금 알아보기 (0) | 2023.08.18 |
상온 초전도체란? 상온 초전도체 관련주,테마주 알아보기 (0) | 2023.08.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