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자금이 걱정되시나요? 노후자금 필수 준비사항 주택연금 알아보기
본문 바로가기
재테크/알쓸 지식

노후자금이 걱정되시나요? 노후자금 필수 준비사항 주택연금 알아보기

by 방구석 고수 2023. 8. 18.
 
 

노후자금 마련 주택연금 가입 나이부터 재산세까지

 

주택연금 노후자금

 

 

주택연금 제도란?(국민연금 외 노후자금 준비)

 

주택연금은 집을 담보로 맡기고 매달 생활자금을 연금으로 받는 제도입니다.

국민연금 외 추가적으로 매달 고정적으로 연금을 받을 수 있어 노후 대비책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국민연금으로는 부부기준 연금이 부족하거나 노후자금이 부족하다고 생각되면 집을 담보로 연금을 받을 수 있으니 부동산 값이 최근 몇 년 사이에 크게 올랐기 때문에 오른 부동산 가격 기준으로 연금을 받을 수 있어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주택연금 가입조건]

가입연령 부부중 1명이 만 55세 이상
주택가격 공시가격 9억(시세 12 ~ 13억 수준) 이하 주택
다주택자일 경우 주택합산 가격이 9억 이하면 가입가능
공시가격이 9억 넘는 2주택자는 3년이내 1주택 처분시 가입가능

23년 10/12부터 가입 기준 공시가격이 17억 수준으로 완화
거주요건 주택연금 가입주택을 실제 거주지로 이용하고 있어야 함
연금지급 시기 만 55세 이상
가입자 세제혜택 등록면허세, 지방교육세 감면
농어촌 특별세, 대출이자비용 소득공제
재산세 25% 감면
연금 수령시 과세여부 비과세
중도 해지시 최초 대출 실행일로부터 3년이내 주택연금을 해지하는 경우 초기 보증료 일부환급
해지시, 3년간 동일주택 재가입 제한
가입자 사망시 기존에 지급하던 월 수령액을 같은 금액으로 배우자가 수령

 

 

주택연금의 인기이유? 부동산 상승으로 수령액 증가

 

23년 상반기 기준 주택연금 가입자에게 지급한 연금액이 사상 처음으로 1조를 넘겼다고 합니다

22년 같은 기간에 비해 35.7% 늘어난 금액이라고 합니다

주택 연금 수령액은 현재 금리, 주택 공시가격 등을 기준으로 산정합니다

 

연금 가입 당시에 금리가 낮을수록 낮아지고, 주택의 공시가격이 높을수록 높게 책정됩니다.

주택 연금 가입 시 금리가 높아지면 가입자가 내는 이자가 늘어 수령액이 줄어드는데 당분간 금리가 동결될 것이라는 분위기와 부동산 가격이 더 떨어질 것이라고 예상 때문에 일찍 가입하는게 유리하다는 판단으로 최근 가입자가 늘어난 것 같습니다

 

주택연금 가입조건(가입기준) 23년 10월부터 완화예정

 

올해 10월 12일부터 주택연금 가입 기준 공시가격 기준이 상향됩니다

 

기존 9억 원 이하 주택 소유자

▶ 12억 원 (공시가격 기준) , 보통 공시가격은 시세보다 30% 정도 낮기 때문에 시세기준으로 17억 정도 예상

단, 연금 지급액 한도가 시세 12억으로 정해져 있어 집값이 12억을 넘어도 받는 연금을 늘어나지 않습니다

주택연금 월지급금

 

오늘은 노후자금 준비의 일환으로 주택연금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현재 은퇴를 하셨거나 은퇴를 준비중인 분들이라면 자녀분들에게 상속하는 것도 좋지만 본인의 노후자금의 여유가 없다면 주택연금제도를 통해 안정적인 노후준비를 하시는 것도 좋은 방안이라 생각합니다

 

 

[부모님 노후를 든든하게!] 23년 최대 인상, 기준 재산과 노인기초 연금 신청방법

[부모님 노후를 든든하게!] 23년 최대 인상, 기준 재산과 노인기초(노후연금) 연금 신청방법 23년 노인(노후연금) 기초연금 정책변경 내용(323,180원) 올해 기초연금이 대폭 인상된다고 하는데 그 내

jth7197.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