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2024년 최저시급, 월급, 연봉, 주휴수당 계산
본문 바로가기
재테크/알쓸 지식

2023,2024년 최저시급, 월급, 연봉, 주휴수당 계산

by 방구석 고수 2023. 8. 9.
 
 

23,24년 최저시급, 월급, 연봉, 주휴수당 계산

23,24년 최저시급,월급, 주휴수당 계산

 

2024 최저시급 얼마일까요? 시간당 9,860원

 
2024년 최저임금이 시간당 9,860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
2023년 최저시급 9,620원 보다 240원 올랐습니다.
인상률은 23년 대비 2.5% 올랐습니다.
시급 만원을 넘을지 말지 큰 관심사였는데 만원은 넘지 못했네요
현재 경제가 좋지 않고 경제가 좋지 않다 보니 자영업자의 인건비 부담 때문에 결정된 액수라고 합니다.
24년 최저시급은 24년 1월 1일부터 적용됩니다.

 

주휴수당과 계산법

 
근로기준법에 1주일에 15시간 이상 일하게 되면 최소 1주에 1번 휴일을 제공해야 합니다
이것을 주휴일이라고 하고, 고용주는 주휴일에 임금을 지급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이때 지급하는 것이 주휴수당입니다.
 
주휴수당은 시급에 1일 평균 근로시간을 곱해서 계산합니다
예를 들어 하루에 3시간씩 주 5일을 일한다고 가정하면
시급 9,860원 x 3시간 = 29,580원이 주휴수당입니다
그러면 주 15시간을 넘겼으니 실제적인 시급은 (9,860원 + 29,580원/15시간) = 11,832원이 시급이 되겠네요
한마디로 주 15시간을 넘기면 실제 최저시급은 주휴수당을 포함하게 됩니다
주휴수당을 포함한 최저시급 계산은 9,860원(23년 기준) + (최저시급 x 하루 근무시간/1주 근무시간)입니다.
경영계에서 주휴수당을 포함하면 시급이 만원이 넘는다는 얘기가 이것을 말합니다 

 

24년 최저시급 인상, 24년 최저임금, 연봉은 얼마일까요?(206만 740원)

 
24년 인상된 최저시급(9,860원)으로 계산한 월 최저임금은 월 209시간 기준으로 206만 740원입니다.
연봉으로 계산하면 2,473만원정도 입니다
올해(23년) 월급 201만 580원 보다 매월 5만 100원 정도 더 받게 됩니다.
23년, 24년 최저임금, 최저시급을 정리하자면(하루 8시간 주 5일 기준)

시급 23년  9,620원
24년  9,860원
주급
시급 x 48시간 기준
(주휴 8시간 포함)
23년 46만 1760원
24년 47만 3280원
월급
시급 x 209시간 기준
(주휴 35시간 포함)
23년 201만 580원
24년 206만 740원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실업급여와 수습급여 상승

 
최저임금이 오르면서 실업급여도 같이 오르게 됩니다.
실업급여는 근무기간에 받건 평균 임금의 60%입니다
그 금액이 실업급여의 하한액을 넘기지 못하면 최저임금 기준으로 산정한 실업급여를 받게 됩니다.
실업급여 하한액은 최저임금의 80%입니다.
 
23년 실업급여 하한액은 1일 61,568원 / 1달 기준 184만 7040원입니다
24년 기준은 1일 63,104원 / 1달 189만 3120원입니다.
이뿐만 아니라 수습급여도 상승하게 됩니다.
기업이 신규 입사자를 대상으로 보통 3개월 수습기간을 두는데 이때 지급하는 것이 수습급여입니다
거의 대부분의 기업이 최저임금의 90%를 수습급여를 지급하기 때문에 최저임금이 상승하게 되면 수습급여도 소액 오르게 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