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납부액 조회 및 예상 수령액 조회 방법
본문 바로가기
꿀팁대방출/생활꿀팁

국민연금 납부액 조회 및 예상 수령액 조회 방법

by 방구석 고수 2023. 6. 20.

 

내가 받을 수 있는 국민연금 예상 수령액은 얼마일까?

국민연금 납부액 예상 수령금 조회

 

 

국민연금 납부액과 예상수령액 조회하기


국민연금 납부 및 수령액 조회하기 절차

국민연금 조회

 

1. 국민연금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내 연금 알아보기를 클릭하세요

2. 예상연금액 조회를 클릭합니다.

3. 공인인증서나 카카오, 네이버, 삼성페이등 간편 인증을 하셔서 로그인하셔야 합니다

4. 로그인하시면 바로 아래 항목이 나옵니다

  - 예상 연금액이 세전/세후로 구분됩니다.

  - 수급개시 년월을 알 수 있습니다

  - 예상납부보험료 총액을 알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납부액 예상 수령금 조회

 

국민연금 납부액 예상 수령금 조회

 

 

 

국민연금 납부액 예상 수령금 조회

 

전체 가입자의 평균월소득 및 개인 기준소득 월액도 예상연금액은 법정 의무가입기간인 만 60세까지 매년 상승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산정됩니다.

 

 

연금수령 나이

국민연금 출생연도에 따라서 수급개시 연령이 달라집니다.

출생 연도가 52년 이전이라면 60세부터 가능하고, 53년 ~56년생이라면 61세부터 수령이 가능합니다.

출생연도 노령연금 분할연금
1953 ~ 1956 61세 61세
1957 ~ 1960 62세 62세
1961 ~ 1964 63세 63세
1965 ~ 1968 64세 64세
1969 이후 65세 65세
 

국민연금 종류

  • 노령연금: 가입기간이 10년 이상이고 60세가 된 때에 기본연금액과 부양가족 연금액을 합산하여 평생 동안 지급하는 연금
  • 조기노령연금: 가입기간이 10년 이상이고 55세 이상인 사람이 소득 있는 업무에 종사하지 않는 경우에 본인이 신청하면 60세 이전에 지급 가능한 연금
  • 분할연금: 분할연금은 이혼한자가 배우자의 노령연금액 중 혼인기간에 해당하는 연금액을 나누어 지급받는 연금      이경우 혼인기간 중 국민연금 보험료 납부기간이 5년 이상이어야 함

조기노령연금 및 연기제도

노령연금은 안내한 내용과 같이 가입기간 외 연금수령 나이 조건도 충족해야 신청이 가능합니다

단, 조건 충족상태에서 소득활동이 없거나 어려운 경우 경제상황에 따라 최대 5년까지 앞당기거나 미룰 수 있습니다.

정상 지급 기준을 100으로 했을 때 조기 또는 연기 시 변동되는 비율은 아래를 참고하세요

구분 1년 2년 3년 4년 5년
조기수령 -6% -12% -18% -24% -30%
연기수령 +7.2% +14.4% +21.6% +28.8% +36%

 

 

[부모님 노후를 든든하게!] 23년 최대 인상, 기준 재산과 노인기초 연금 신청방법

[부모님 노후를 든든하게!] 23년 최대 인상, 기준 재산과 노인기초(노후연금) 연금 신청방법 23년 노인(노후연금) 기초연금 정책변경 내용(323,180원) 올해 기초연금이 대폭 인상된다고 하는데 그 내

jth7197.tistory.com

 

국민연금 관련 자주 묻는 질문

Q. 국민연금을 안 내면 어떻게 되나요?
A. 국민연금 가입대상자가 연금을 납부하지 않으면, 연체금이 부과됩니다.

 

Q. 국민연금 납부기간이 10년 미만이면 어떻게 되나요?
A. 국민연금을 수령하기 위해서는 최소 10년 이상 연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만약 수령나이가 됐음에도 가입기간이 모자라다면 ‘임의계속가입’으로 가입기간을 채울 수 있습니다.

 

Q. 이혼 시 어떻게 하나요?
A. 혼인기간이 5년 이상인 경우라면 이 기간 동안 납부한 금액에 대해서 동일하게 연금을 분할하여 지급합니다. 다만, 2016년 12월 30일 이후에 수급권을 취득했다면, 당사자간의 합의나 재판 등으로 비율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Q. 국민연금을 미리 받고 싶은데요?
A. 소득이 없거나 월평균 소득이 2,438,69원 이하라면 국민연금 수령나이 보다 5년 빠르게 연금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 다만, 그만큼 수령액이 감액됩니다.

 

Q. 사업장가입자인데 국민연금 탈퇴할 수 없나요?
A.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1인 이상 사업장은 국민연금을 포함한 4대 보험에 반드시 가입해야 합니다.

 

Q. 물가 상승 시 국민연금은 어떻게 되나요?
A. 물가가 오르면 그만큼 수령액도 올라갑니다.

 

 

건강보험료(건보료) 산정기준

직장인 가입자, 지역가입자 건보료 산정기준은?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산정 기준은?(소득, 재산, 자동차 등을 기준으로 함) 직장인은 보통 월급 기준으로 건보료가 정해집니다 보험료율을 계산

jth7197.tistory.com

 

댓글